개최도시,부산

일반정보

약 35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번화한 도시 부산 은 한반도의 남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부산의 전체 면적은 769.89km²로 한반도 전체 육지의 0.8%에 불과합니다. 부산의 자연환경은 산, 강 그리고 바다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는 것이 특징이며, 멋진 해변과 경치 좋은 절벽이 있는 해안선, 그리고 아름다운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크고 작은 산이 도시 곳곳에 있습니다. 부산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온화한 기후로 너무 덥지도 춥지도 않습니다.

부산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항구 도시입니다. 깊은 항구와 온화한 조수로 인해 우리나라 컨테이너 물동량의 80% 이상을 처리하는 국내 최대의 컨테이너 처리 항구이자 세계 5대 항만도시로 발전하였습니다. 또한, 유라시아 대륙의 끝자락에 위치하여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전체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부산광역시는 풍부한 천연자원과 유구한 역사 덕분에 세계적인 관광 및 문화의 도시로서 명성이 높아졌으며 국제 컨벤션의 명소로도 손꼽힙니다. 2001년 5월 23일 부산전시컨벤션센터(BEXCO)의 준공으로 국제회의 도시의 서막을 열게 되었으며, 2001년 12월 월드컵 조추첨, 2004년 9월 ITU총회 개최, 2005년 11월 아시아태평양정상회의(APEC) 개최 등으로 컨벤션 중심도시로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2014년 10월 ITU전권회의 개최, 12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개최되어 부산의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를 드높여 세계도시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부산은 우리나라 제1의 항만·해양관광·영화·국제회의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로써 부산은 21세기 동북아의 중추도시로 그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위치

지리적으로 부산은 한반도의 남동단에 자리 잡고 있고, 바다에 면한 남쪽을 제외하고는 경상남도와 접하고 있으며, 남으로는 대한해협에 면해 있고, 북으로는 울산광역시와 양산시의 동면과 물금읍, 서로는 김해시의 대동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부산과 위도가 비슷한 우리나라 도시로는 진해, 광주 등이 있으며, 외국의 경우 일본의 도쿄, 중국의 정센, 알제리의 알제, 그리고 미국의 오클라호마시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경도상으로는 시베리아의 르호얀스크, 일본의 나카사키, 호주의 다윈이 이에 속합니다. 한편, 부산은 표준시보다 약 8시간 37분 빠르고, 한국 표준시(동경 135° 기준) 보다는 약 24분이 늦은 곳입니다.

기후

부산은 동아시아 계절풍이 탁월한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한반도의 남동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이 뚜렷한 온대기후를 나타냅니다. 연평균 기온은 14.9° C이고, 연평균 강우량은 1,441.9mm입니다. 부산은 한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바람이 강한 편입니다.

봄은 3월에 시작하여 6월 말에 끝납니다. 3월 하순에 벚꽃이 피고 4월부터 6월까지 기온이 매우 쾌적합니다. 6월 말과 7월 말의 우기에는 다가오는 여름 더위가 시작됩니다.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일 최고기온 32℃ 이상의 무더위가 수주일간 계속되기도 합니다. 가을은 9월 초순에서 11월 말까지의 계절로, 대륙의 고기압이 점차 발달하여 부산지역은 맑은 날을 맞습니다. 겨울은 11월 말부터 시작하여 2월까지 계속되지만, 부산은 거의 눈이 내리지 않습니다. 겨울 평균 기온은 3.8° C 정도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다음으로 겨울철이 온화합니다.

날씨가 좋고 풍경이 아름다워 사계절 내내 부산을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의 해운대와 광안리 해변은 아름답고 여유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즐기는 방문객들로 붐빕니다.

인구

대한민국 제1의 항구 도시 부산은 1876년 근대 국제항으로 개항과 함께 우리나라의 무역·상공업 중심지로서 발전하면서 1942년에 334,318명으로 증가하였다가, 광복 이후 1945년에는 281,160명으로 일본인이 물러감에 따라 일시 줄어들기도 했습니다. 1949년 8월 부산시(釜山市) 개칭과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전국각지에서 피난민이 몰려들고 임시수도가 되면서 인구는 급증하여 1951년 844,134명으로, 1955년 1,049,363명으로 100만 명을 돌파하였습니다. 1980년에는 3,159,766명으로 300만 명이 넘는 대도시로 성장하였으나, 1995년 경제침체에 따른 영세기업의 역외이전과 출산율 감소로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019년 12월 기준으로 부산광역시 총인구수는 3,466,563명이고, 이 중 52,722명은 부산 거주 외국인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부산지질명소

부산국가지질공원

부산은 우리나라 제2의 대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강하구, 해안, 산지에 뛰어난 경관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하고도 독특한 풍광과 지질 및 지형유산을 보유함과 동시에 이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생태, 역사, 문화자원이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부산국가지질공원에는 강과 바다가 어우러진 천연의 국내 최대의 현생 삼각주인 낙동강 하구, 고대 박물관으로 가는 바닷길 몰운대, 공룡의 낙원을 뒤흔든 지진을 보여주는 두송반도, 불의 신이 사는 호수 송도반도와 두도, 호수에서 태어나 바다와 맞선 바위들의 향연 태종대, 부산의 상징인 오륙도와 이기대, 불타는 대지 장산, 신화가 잠든 바위산 금정산, 마그마가 빚어낸 천연 공예품 구상반려암, 다양한 암석들의 하모니 백양산 등 총 12개의 지질명소가 있습니다.

지질명소

  • 낙동강 하구

    낙동강 하구

    강과 바다가 어울린 천연의 모래섬

    낙동강이 남해바다와 만나 만들어진 현생 삼각주로 모래들이 쌓여 만들어진 사주, 사구, 석호 등 아름다운 지형의 명소들이 압권입니다. 습지와 철새도래지 명소에는 독특하고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합니다.

  • 몰운대

    몰운대

    고대 박물관으로 가는 바닷길

    약 8천만년 전 백악기 말에 쌓인 하부다대포층과 그 후 부산지역 지각의 변형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명소입니다. 다양한 단층과 단층암, 암맥, 광맥, 마그마성 및 쇄설성암맥, 쳐트편, 사층리, 흔적화석, 과거지진기록 등의 다양한 지질특성을 간직한 지질학의 교과서라 불릴만한 명소입니다.

  • 두송반도

    두송반도

    공룡의 낙원을 뒤흔든 지진

    공룡의 전성시대였던 백악기 말의 부산지역고환경과 지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으뜸명소입니다. 특히 과거 지진이 기록된 다양한 산출상태의 쇄설성암맥과 고지진암이 절경입니다. 퇴적층에서는 공룡알 둥지와 파편 화석이 나타나고, 이회암, 석화목, 환원점, 석회질 고토양 등의 흥미로운 지질특성들은 높은 학술적 가치를 가집니다.

  • 송도반도-두도

    송도반도-두도

    송도반도-두도

    불의 신(VULCAN)이 사는 호수

    해안을 따라 다대포 특유의 퇴적암, 현무암, 화쇄암, 관입 유문암 등 다양한 암석들이 공룡골격과 공룡 알둥지화석, 석회질 고토양과 함께 발견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곳에서는 수려한 한려해상의 경관과 함께 다양한 지질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두도는 송도반도 남쪽 해상을 따라 자리 잡은 백악기 후기의 화산암과 다대포 하부 형성의 절경을 보여주는 무인도로, 공룡 뼈와 공룡알둥지 화석이 있는 보물 상자입니다.

  • 태종대

    태종대

    호수에서 태어나 바다와 맞선 바위들

    백악기말에 호수에서 쌓인 퇴적층이 해수면 상승으로 파도에 의해 침식되어 만들어진 파식대지, 해식애, 해안동굴 등의 암벽해안으로 유명한 부산을 대표하는 해안 경관지입니다. 구상혼펠스, 슬럼프구조, 꽃다발구조 등의 다양한 지질기록들로 구성된 놀라운 지질학적 풍경 또한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오륙도-이기대

    오륙도-이기대

    오륙도-이기대

    바다를 향한 불의 신(VULCAN)

    약 8천만 년 전 격렬했던 안산암질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용암과 화산재, 화쇄류가 쌓여 만들어진 다양한 화산암 및 퇴적암 지층들이 파도의 침식으로 발달된 해식애, 파식대지, 해식동굴과 함께 천혜의 절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 장산

    장산

    불타는 대지

    약 7천만 년 전 격렬했던 유문암질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화산재, 용암, 화쇄류로 이루어진 산입니다. 구과상유문암, 유문암질 응회암, 반상유문암 등의 다양한 화산암들과 장산폭포, 돌서렁, 인셀베르그 등의 웅장한 지형이 넘쳐나며,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해안도심 경관이 절정입니다.

  • 금정산

    금정산

    신화가 잠든 바위산

    약 7천만 년 전 지하에서 마그마가 식어서 생성된 화강암이 융기하여 형성된 부산 땅의 뿌리를 이루는 산입니다. 오랜 세월 비바람에 깎이고 다듬어져 만들어진 기암절벽, 토르, 나마, 인셀베르그, 블록스트림 등의 우아한 화강암 지형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 구상반려암

    구상반려암

    마그마가 빚어낸 천연의 공예품

    황령산 일대의 구상반려암은 약 6천만 년 전 지하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굳어 만들어진 암석으로 암석의 표면에서는 가운데의 핵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을 그리며 광물들이 배열된 구상조직을 잘 보여줍니다. 반려암은 우리나라에서 분포가 매우 적은 희귀암이며, 구상반려암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보고되었을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암석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 제267호로 지정된 부산지질공원의 으뜸명소입니다.

  • 백양산

    백양산

    다양한 암석들의 하모니, 부산의 역사책

    약 8천만 년 전 격렬했던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물질이 쌓여 만들어진 다양한 화산쇄설암, 화산활동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을 때 호수에서 퇴적된 퇴적암, 그리고 지하에서 이들을 관입한 화강암까지 부산의 지질 변천사를 전체적으로 보여줍니다.

주요 관광지

  • 용두산공원

    용두산공원

    옛날에는 소나무가 울창하여 송현산이라 불렸으나, 임진란 후 이곳 산 모양이 용이 바다를 바라보면 일본을 삼킬 듯하다 하여 용두산이라 불렸으며, 1957년에는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80회 생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그의 호를 따서 우남공원으로 불리다, 4·19이후에 다시 용두산공원으로 바뀌었습니다. 용두산 정상에 1974년 높이 120m의 부산탑을 세워 엘리베이터를 타고 전망대에 오르면, 부산항의 아름다움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과학전시관, 해양수족관 등의 부대 시설로 부산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공원 내에는 대원군의 척화비와 이순신 장군 동상 등이 있습니다.

  • 범어사

    범어사

    범어사는 금정산 동쪽 기슭에 자리한 사찰로 해인사, 통도사와 더불어 영남 불교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3대 사찰 중의 하나인 대사찰입니다. 당시 왜구를 진압하기 위해 통일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는 창건설화가 전해지며, 임진왜란, 3.1운동 등 오랜 기간 왜구에 대항하는 정신적인 뿌리가 되었던 호국사찰로도 유명합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중건을 거듭한 범어사는 광해군 5년에 다시 중창되어 많은 고승을 배출하면서 사세를 확장하고 오늘날 대사찰로 발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해동 용궁사

    해동 용궁사

    해동 용궁사는 1376년 공민왕(恭民王)의 왕사(王師)였던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창건으로 한국삼대관음성지(三大觀音聖地)의 한 곳이며 바다와 용과 관음대불이 조화를 이루어 그 어느 곳보다 신앙의 깊은 뜻을 담고 있으며, 진심으로 기도를 하면 누구나 꼭 현몽을 받고 한가지 소원을 이루는 영험한 곳으로 유명합니다. 주차장에서 내려 2분만 걸어가면 동양철학의 육십갑자 십이지상이 봉안되어 있고 우리 모두의 안전 운행을 기원하는 교통 안전 기원 탑이 조심운전을 당부합니다. 풍광을 찬탄한 춘원 이광수의 시비와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 하고 창공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 하네"라고 노래한 유명한 나옹화상의 시구는 잠시나마 나 자신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해주는 곳입니다.

  • 광안리 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은 넓이 120만 4000㎡로, 서쪽 끝은 남천동에서, 동쪽 끝은 민락동에 이르는 광활한 해수욕장입니다. 아름다운 백사장이 끝없이 전개되어 해운대 해수욕장과 더불어 가장 많은 인파가 몰려듭니다. 부근에는 철을 따라 성황을 이루는 많은 음식점과 카페가 있습니다.

  • 해운대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

    백사장 길이가 1.5km, 폭 30~50m, 면적 58400㎡로 수심이 얕고 조수의 변화가 심하지 않으며 주변에 오락시설과 부대 시설이 많아 해마다 천만 명이 넘는 피서객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또한, 매년 해수욕장 개장과 아울러 각종 행사와 축제가 개최되어 해운대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수욕장 입구에 들어서 있는 부산 아쿠아리움을 비롯해 해변 문화관, 해변도서관이 있으며 해맞이 축제, 달맞이 온천축제, 바다축제 등 연중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많습니다.

  • 자갈치시장

    자갈치시장

    막 잡아 온 생선이 거래되는 곳으로, 건물 1층은 어시장이 들어서 있고, 2층은 회 센터와 건어물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싱싱한 고기를 비교적 싸게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생선회는 직접 활어시장에서 고기를 구입하여 횟집에 약간의 양념값과 매운탕 가격을 지급하여 먹는 방법이 훨씬 경제적입니다.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있긴 하지만 흥정하기에 따라 가격이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 또한 자갈치시장의 묘미이기도 합니다.

  • 국제시장

    국제시장

    국제시장은 부산이 한때 우리나라에서 가장 거래 규모가 큰 상업 도시로서 이름을 떨치게 해주었던 상징적인 존재입니다. 신창동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시장이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1945년 광복과 함께 발전해 왔습니다. 광복되자 일본인들이 철수하면서 이른바 전시통제물자를 한꺼번에 팔아 돈을 챙기기 시작하면서부터 우리나라 최대시장이었던 부평동 공설시장 일대에 갖가지 물자들이 쏟아져 나왔고, 그런 물자들이 드넓은 빈터였던 오늘의 국제시장 자리를 장바닥으로 만들어 자연 발생적으로 상설 시장을 이룩했던 것이 국제시장이 발생하게 된 배경입니다.